땅끝기맥3구간[활성산](가음치 금오마을입구~금오마을~풍력단지~활성산~월곡계곡~돈밧재~835번도로~월출산 천황사탐방센터)
[ 2022. 11. 21 ]

구 간 요 강

1. 금정면 숙소 - 가음치 금오마을 입구 교통편
1) 2022년 11월 21일(월) 연분홍한옥민박 -> 가음치 : 금정택시(10,000원)

2. 산행코스
2022년 11월 21일(월) 총소요: 4시간 33분(산행거리 : 18.25km)

가음치 금오마을입구~연소저수지~금오마을~풍력단지~활성산~월곡계곡~월곡제~돈밧재~835번도로~쌍정제~월출산 천황사탐방센터

3. 천황사 탐방지원센터 - 서울 교통편
1) 2022년 11월 21일(월) 천황사 탐방지원센터 -> 영암터미널 : 카카오T 영암택시(5,440원)
2) 2022년 11월 21일(월) 영암터미널 -> 영산포터미널 : 시외버스(3,300원)
3) 2022년 11월 21일(월) 영산포터미널 -> 나주역 : 나주택시(4,420원)
4) 2022년 11월 21일(월) 나주역16:18 -> 18:32용산역 : KTX산천(33,700원)

특 이 사 항

1) 땅끝기맥 3구간은 활성산 정상 부위를 제외하면 임도와 차도만으로 산행을 진행하다 보니 전체 18.25km 거리를 평균속도 4.2km/h로 진행하여 4시간 33분 만에 산행을 마치게 된다.

2) 가음치에서 들머리는 가파르고 잡목 우거진 비탈을 올라야 하기에 금오마을로 이어지는 임도가 있는 지점을 대체 들머리로 정하고, 활성산 정상 직전까지 임도를 따라가고, 활성산 정상에서 달뜬봉으로 가는 등로는 묘연하거나 가시덤불로 악조건이라 하여 포기하고 월곡계곡으로 난 임도를 따라가다 835번 지방도로를 만나 따라가고, 13번 국도를 만나서는 우회로로 진행하다 '월출산 천황사 탐방지원센터' 까지는 일반 포장도로를 따라간다.

산  행  길



산 행 일 지


▼ 07:16 가음치 금오마을 입구 산행시작 ~ 07:38 [1.46km] 금오마을회관

예약한 금정면 택시로 가음치 직전 금오마을 입구에서 내려 23번 국도가 가음치 고개마루롤 향해 올라가는 방향을 바라보니 일출 직전이고, 국사봉이 실루엣으로 조망되는데

우측 금오마을 방향 임도를 따르면서 07:16 산행 시작한다.

고개마루를 지나 완만히 내려가면 07:21 [0.31km] 삼거리에서 기맥과 합류하여 우측 임도를 따라가고

07:25 [0.63km] 연소저수지 우측 도로를 지나

07:33 사거리에서 직진하고 금오마을 입구 팔각정과 당산나무 지점을 지나면

07:38 [1.46km] 금오마을회관 앞에서 좌틀하여야 한다.


▼ 08:43 [5.58km] 활성산(498m) 정상

도로는 좁아지니 산간 임도로 바뀌고 07:44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올라 좌측으로 휘어가면 대나무 숲길을 지나가고

계속해서 임도를 따라가다 보면 07:57 철대문이 출입통제를 알려주지만 옆으로 통과하고

임도 좌측으로는 태양광 집광판이 보이고 메테세과이어 임도를 지나

편백나무 임도를 지나가면 08:11 [3.54km] 차단기가 막는 지점을 통과하고

풍력단지 풍차와 태양광 집광판을 조망하며

고도를 높혀 가다 08:22 [4.28km] 기맥이 우측 숲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그냥 임도 따라 진행한다.

임도 좌측 아래로 풍력과 태양광 관리 건물이 보이고 08:34 [5.14km] 고개마루에서 우측으로 틀어 가면

활성산 정상부가 가깝게 보이고

좌측 뒷편으로는 안개구름에 잠긴 산봉우리들이 몽환적인 한 폭의 동양화로 조망되며

약간 우측(남남서쪽)으로는 월출산이 조망되니 줌으로 당겨 절경을 담아 본다.

통신 장비 직전에 좌측으로 올라가면 건물 직전에 한 번 더 좌측으로 올라가야 하고

08:43 [5.58km] 망루형 산불감시초소가 선 활성산(498m) 정상에 도착하게 된다.

정상 아래 통신탑을 바라보고, 남남서 방향 달뜬봉을 바라보니 월출산도 함께 조망된다. 08:48 출발


▼ 10:23 [12.2km] 돈밧재

달뜬봉은 기맥에 포함되나 최악의 등로라 하여 포기하고 오던 길로 내려가 지도에 표시된 임도는 원형철망과 금줄이 막아서고 잡풀이 뒤덮혀 진행을 마다하고

고개마루로 돌아와 여러갈래 임도에서 우측 새로 신설된 듯한 세멘 임도를 따라가기로 하는데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은 임도이다.

임도 따라 내려가면 월출산이 조망되고

09:08 [6.82km] 가로막힌 옛 임도와 만나는 지점은 잡풀이 뒤덮혀 신설 임도가 대신한 듯하고 09:14 [7.19km] 열려있는 철대문을 빠져

우측으로 틀어가면

09:20 [7.56km] 좌측으로 틀어가는 임도가 두군데인데 앞쪽 학송리 방향 임도로 진행하고

가을걷이 끝난 논밭 임도를 따라가는데

마을회관이 보이는 논둑길로 질러 접근하면 09:53 [9.99km] 임도를 만나 우측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강진 옴천면 월곡리 '신월경로당' 바로 앞이고 마을 특산물로 토하 서식장이 안내된다.

'월곡제'라는 저수지를 지나가면

10:19 [12.0km] 835번 지방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크게 틀어 올라가야 하고

도로 따라 서서히 올라가면 10:23 [12.2km] 돈밧재 고개마루에 도착한다. 강진군 옴천면과 영암군 영암읍을 잇는 돈밧재는 오래전 산적들이 지나는 행인들에게 돈을 받고 보내줬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좌측 방향으로는 가파른 절개지를 올라야하는 기맥길이 보이고, 우측으로는 완만히 내려오는 기맥길이 보이는데

그냥 835번 도로를 따라가기로 한다.

원래 3구간 날머리는 풀치재(불티재)이고 4구간은 비정규탐방 위험 구간을 거쳐 월출산으로 올라 가야하는데, 어차피 이미 끝난 4구간은 천황사 탐방지원센터를 들머리로 왼료하였기에 월출산 국립공원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

민박집 여주인이 챙겨 준 홍시로 요기하고 10:33 출발한다.


▼ 11:49 [18.25km] 월출산 천황사 탐방지원센터

월출산을 바라보며 835번 도로를 따라 내려가면

11:07 [15.1km] 장흥교차로에서 13번 국도 방향으로 직진하고

11:11 [15.4km] 13번 국도를 우측으로 우회하는 소로를 따르면 우측은 쌍정제란 저수지가 보이고 도로변에 여러마리 견공들이 집단으로 짖어대고 청풍가든이라는 음적점도 보이고

11:17 [15.8km] S-oil 주유소를 지나면 다시 13번 국도와 만나 잠시 국도 따라 진행하다

11:22 우측 램프로 내려가야 하고

11:24 [16.6km] 좌측으로 틀어 13번 국도 아래를 통과하는 굴다리를 지나면 쌍정마을이라 하고

남북으로 뻗어가는 월출산 산자락이 온전히 조망되는 일반도로를 따라가면

11:42 [17.7km] 월비마을 표석 선 사거리에서 좌틀 진행하고, 월출산 탐방객들을 맞는 상가 도로에서 11:45 [18.0km] 우측으로 들어가면

11:49 [18.25km] 월출산 천황사 탐방지원센터 입구 상가지역에 도착하여 땅끝기맥 3구간을 무사히 마무리 한다.


= 월출산 좌 사자봉과 우 장군봉 배경 =


= 월출산 사자봉 절벽을 올라가는 구름다리가 보인다. =


= 지나온 활성산 풍력단지 =

지난 4구간 때 영암읍내에서도 카카오T에 응하는 택시가 없더니만 월출산 국립공원에서 콜하니 금방 도착하여 영암터미널로 이동하고, 시외버스로 나주 영산포터미널에서 내려 근처에서 식사하고, 택시로 나주역으로 이동하여 서울행 KTX산천 열차를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