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성남 인릉산 일대(옛골입구~인릉산~범바위전망대~범바위산~세곡천변~영장산~가천대역)
[ 2023. 7. 30 ]

구 간 요 강

1. 서울 - 옛골입구 교통편
1) 2023년 7월 30일(일) 양재역 -> 청계산입구역 : 신분당선
2) 2023년 7월 30일(일) 청계산입구역 -> 옛골입구 : 4432번 버스

2. 산행코스
2023년 7월 30일(일) 총소요: 5시간 10분(산행거리 : 13.52km)

옛골입구~인릉산~범바위전망대~범바위산~세곡천변~영장산~가천대역

3. 가천대역 - 서울 교통편
1) 2023년 7월 30일(일) 가천대역 -> 왕십리역 : 수인분당선

산  행  길



산 행 일 지


▼ 07:45 옛골 입구 산행 시작 ~ 08:01 [840m] '성남누비길 제7구간 인릉산길' 시작점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 2번 출구로 나와 4432번 버스로 옛골 입구에서 하차하여 반바지와 민소매로 갈이 입은 후

07:45 '옛골토성'이라는 음식점 앞 횡단보도를 건너 청계산 반대 방향(동쪽)으로 산행 시작한다.

07:47 '카페 M'에서 좌측 골목으로 들어가면 '성남누비길'이라 알려주는 팻말이 보이고

골목을 돌아 들어가

'성남누비길' 따라 진행하면

07:58 능선에 붙어 좌틀하여야 하고

등로 우측으로 인릉산 산자락을 바라보며 진행하면

08:01 [840m] '성남누비길 제7구간 인릉산길' 안내판을 통과한다.


▼ 09:19 [3.99km] 인릉산(326.5m) 정상

잠시 오름 경사를 올라가면 망루형 산불감시초소를 향해 더 올라가야 하고

08:06 산불감시초소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평탄한 등로가 이어가고

08:10 인릉산 2.3km 남았다 알려주는 이정표를 지나 08:11 주능선에 합류하여 좌틀 올라가면 인릉산 1.5km 남은 지점이고

08:13 쉼터 공간을 지나가게 되고

08:19 두 번째 봉우리를 지나 살짝 우측으로 휘면서 북진하게 되고

기암 바위 경연 지역을 연속으로 지나가면

사면 등로를 거친 후 08:27 세 번째 봉우리에서는 등로와 능선이 우측으로 틀어가고

08:30 [1.90km] 군부대 철망울이 가로막은 T자형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틀어

군부대 철망울을 따라가면

동진하게 되고

08:46 봉우리 하나는 우측으로 우회하고 북동진하면 08:47 ㅏ자형 삼거리에서 직진하여야 하고

08:48 [2.82km] 진행 방향 네 갈래 길에서 결과적으로 로프 설치된 1번이 옳은 등로인데, 1번 길이 너무 가파르게 떨어진다 싶어 2번 길로 한참을 내려가다 잘못 진행함을 깨닫고 다시 돌아와 3, 4번 방향으로 진행하니

08:56 네 번째 봉우리 쉼봉에서 오던 방향으로 거슬러 인릉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등로를 찾기로 작정한다.

08:57 놓친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면 가시 철망이 위협적이고

가파르게 떨어져야 하는데 이제야 조금 전 1번 길이 왜 맞는지 깨닫게 된다. 09:01 사거리에서 우측에서 내려 온 1번 길과 만나 좌측으로 진행하는데

인릉산으로 이어가는 능선은 군부대가 점령하여 뚝 떨어졌다가 사면으로 난 등로를 따라 진행하면

마침내 주능선에 올라 붙게 되고 완만하게 올라가면 09:17 [3.97km] 삼거리에서 우직진 인릉산 정상을 밟고 다시 돌아와 좌측 범바위 방향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갈림길을 지나가고

쉼터와 인릉산 정상석으로 접근하면

09:19 [3.99km] 인릉산(326.5m) 정상에 도착하게 된다.

인릉산(仁陵山)

인릉산은 서울특별시의 서초구와 경기도 성남시에 걸쳐 동서향으로 뻗어내린 산으로 해발 327m의 산이다.

인릉산이란 산이름은 북쪽에 위치한 순조의 능인 인릉의 조산(朝山)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여겨진다. 인릉은 대모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조선 23대 임금인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원래 대모산은 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 하여 할미산으로 불리다가, 조선 태종의 헌릉이 자리하면서 '노파'보다는 '어미'라 부르는 것이 낫다는 세종의 어명에 의해 대모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09:30 오던 방향으로 뒤돌아 출발


▼ 10:04 [5.59km] (지형도)범바위산(192m) 정상

잠시 후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 범바위 방향으로 진행하면 통나무 계단을 내려가야 하고

로프달린 내리막 경사를 미끄러지면

09:33 ㅏ자형 삼거리에서 직진하여야 하고 09:37 벤치 놓인 지점을 지나 평탄한 등로를 따르면

등로가 우측으로 휘어가는 지점에서 곧장 직진(북쪽) 방향에 벤치와 범상치 않아 보이는 바위가 '범바위'이고

09:43 [4.61km] 범바위 좌측으로 트인 전망대에 서면

북서쪽에서 부터

북동쪽에 이르는 서울 산들이 망라하여 조망되는 호사를 누리게 된다.

살짝 내려가면 09:50 [4.88km] 등로는 좌측으로 꺾여 내려가는데

통나무 계단을 따라 가파르게 내려가야 하고

가볍게 완만히 내려가면 09:57 벤치와 운동기구 설치 지역을 지나게 되고

다시금 고도를 높혀 올라가면

10:00 [5.36km] 벤치와 원식탁 봉우리에 올라서고

완만히 내려가면

10:04 [5.59km] 지형도 상 범바위산(192m) 정상에 도착하는데 범바위가 있고 전망이 좋았던 '범바위 전망대'가 더 이름에 걸맞겠다는 생각이다.


▼ 11:14 [8.68km] 분당-수서간고속/수도권제1순환고속 입체 교차로

이제 다시 등로는 동진하는데 10:07 운동 기구 설치된 쉼터를 지나면 바위를 끼고 돌아 내려가야 하고

10:17 [6.30km] 삼각점 박힌 봉우리에 올라서면

통나무 계단을 내려가는데 10:21 삼거리 안부에서 좌측으로 올라가야 하고 10:22 육각정과 운동 기구 설치 지역을 지나면

10:24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가야 하고 10:30 '성남누비길 제7구간 인릉산길'을 벗어나고

10:32 주택가로 내려서게 된다.

주택가 골목을 벗어나면 10:34 [7.07km] 8차선 대왕판교로를 만나 좌틀하는데

모퉁이에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새말)' 마을석이 세워져 있고

10:35 신호를 기다려 횡단보도를 건넌 후 좌틀하고 10:40 세곡3교를 건너면 서울 강남구로 들어가게 되고

10:41 [7.44km] 세곡3교를 건너 세곡천을 따라 우틀하면 차량 1대 통행할 만한 포장 도로가 이어지고

10:57 [8.51km] 세곡천이 탄천으로 합수되는 지점에서 징검다리를 건너가기로 작정한다.

10:58 먼저 징검다리로 세곡천을 건너고 10:59 탄천 징검다리를 건너는데 지난 장마로 떠내려온 오물들이 징검다리에 걸려 수거가 시급해 보이고 물살이 꽤나 빠르고 넘실거려 건너는데 위기감도 느낄 정도이다.

징검다리를 다 건너면 11:01 [8.68km] 탄천 조깅과 자전거 트랙을 건너가게 되고

11:02 탄천대교 아래 계단을 올라 좌틀하면

탄천 제방((뚝방) 따라 난 길을 따라가게 되고 11:10 탄천쪽에서 올라 온 낡은 포장길을 만나 우틀하면

이제 서울 송파구 시설물을 지나가게 되고 11:12 대왕교에서 연결되는 성남대로를 만나 우틀하면

11:14 [8.68km] '분당-수서간 고속도로'와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 입체 교차로 아래를 지나가게 된다.


▼ 12:16 [11.9km] 영장산(193.7m) 정상

동쪽 방향 남한산성을 바라보며 진행하다

11:16 [9.54km] 도로 사거리에서 우틀하고 11:20 8차선 성남대로를 횡단보도로 건너가서 직진 방향 소로로 들어가면 '하늘꿈 중고등학교'를 지나고 이어 11:25 [9.92km] 우측 방향 서울국제학교 SIS(Seoul International School) 정문을 지나가면

주택가를 관통하고 11:29 우틀한 후

곧바로 좌틀하면 영장산 이정표가 보이고

제법 산자락에 붙게 되는 느낌이고 비포장 수렛길을 띠라 서서히 올라가면

11:34 [10.3km] '성남누비길 남한산성길 제1구간'을 시작하는 표지판을 지나가게 된다.

로프 달린 나무 계단을 오르면 11:40 [10.6km] 좌측에서 올라 온 길과 만나는 삼거리를 지나는데 영장산은 1.1km 남은 지점이고

11:45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야 하는데 우측 방향에는 다양한 운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나무계단을 내려가면

11:49 [10.9km] 사거리 안부이고

두차례 통나무 계단을 숨가쁘게 올라가면

평탄한 등로를 지나가고 11:59 [11.4km] 벤치 놓인 쉼봉을 넘어가면

나무계단을 내려가야 하고 12:02 삼거리에서 좌측 계단 오르막 등로를 따르면

평탄한 등로에 운동 기구가 설치된 지점을 지나가고 12:05 [11.6km] 사거리에서 직진 방향 나무계단을 올라가야 하는데 우측으로는 '봉국사'가 좌측으로는 '산성역'이 안내되었고

나무계단과 거친 경사를 숨가쁘게 올라가고도

가파른 나무계단을 한동안 올라가면 12:13 화장실과 '산불감시탑' 사이로 난 등로를 지나가는데

네이버 지형도에는 산불감시탑 지점이 영장산 정상이라 하고, 사각정자와

운동 기구 지역을 지나면

12:16 [11.9km] 트랭글에서 배지 수여하는 영장산(193.7m) 정상에 도착하는데 아무런 표식도 없어 많이 아쉽다.

영장산[ 靈長山 , Yeongjansan ]

경기도 성남시의 북부 수정구 태평동과 복정동 · 창곡동 사이에 위치한 산이다(고도:194m). '신령한 기운이 서린 뛰어난 산'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라고 전해진다. 서쪽 산록에 봉국사(奉國寺)가 자리하는데, 이 절을 창건한 허능(許能) 대사가 쓴 글에는 영장산을 성부산(星浮山)으로 기록하고 있다고 전한다. 조선 세종의 아들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실에서 영장산에 칠성단을 만들고 제를 지냈으며, 수진궁을 지어 묘소를 관리했다고 한다. 산록에 칠성대 · 망경암이 있으며, 경원대학교가 가깝게 위치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영장산 [靈長山, Yeongjansan]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 12:55 [13.52km] 가천대역 2번출입구 산행 종료

12:22 좌측으로 산행 재개하면 데크 계단이 길 안내하고 12:24 고운정(高雲亭)이란 육각정을 지나가다

데크 계단을 마다하고 좌측 통나무 계단을 따라가다 여의치 않아 사면을 돌아

12:30 [12.2km] 다시 데크 계단을 만나 좌측으로 내려가면 12:33 '영장공원 물놀이장'을 지나가게 되고

12:34 공원을 빠져 도로로 나가 우틀하면 도로 고개 마루 쯤에 있는

12:38 '수도사'란 자그마한 사찰을 지나가고

2차선 도로 따라 제법 가파르게 내려가면 12:40 도로 반대편에 제법 규모가 큰 '봉국사'가 보인다.

진행 방향(서쪽)으로 지나온 인릉산과 청계산 자락을 바라보며 도로 따라 내려가면

12:54 T자형 도로 삼거리에서 인도 따라 우틀하면

12:55 [13.52km] 수인분당선 가천대역 2번출입구에 도착하여 산행을 마무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