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사방산 영평산 일대(율곡유적지입구~자운산~사방산~쇠꼴마을~영평산~쇠꼴마을~금곡2리사무소)
[ 2025. 3. 10 ]

구 간 요 강

1. 서울 - 율곡유적지 주차장 교통편
1) 2025년 3월 10일(월) 공덕역 -> 문산역 : 경의중앙선
2) 2025년 3월 10일(월) 문산역 -> 율곡유적지 주차장 : 파주택시(10,900원)

2. 산행코스
2025년 3월 10일(월) 총소요: 3시간 51분(산행거리 : 8.46km)

율곡유적지입구~자운산~사방산(정상석)~사방산(삼각점)~쇠꼴마을~영평산(광평산)~광평산 동봉~쇠꼴마을~금곡2리사무소

3. 금곡2리사무소 - 서울 교통편
1) 2025년 3월 10일(월) 금곡2리사무소 -> 문산역 : 파주택시(14,200원)
2) 2025년 3월 10일(월) 문산역 -> 공덕역 : 경의중앙선

특 이 사 항

※ 원래 율곡선생 유적지를 둘러보고 이어 사방산 산자락을 타고 산행하려 했는데 월요일이 휴무인지라 입구 문이 닫혀 유적지 관람은 물론 초반 들머리를 찾지 못해 헤매다 겨우 산자락에 붙을 수 있었다.

※ 선답자들 산행 후기에서 별도 산으로 언급된 자운산은 사방산의 원래 명칭으로 문헌에도 자운산이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사방산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였는데 자운서원과 사임당묘에서 가까운 215m봉에 故한현우님의 표지판이 붙었다는 이유로 별개 산이라 하여 산꾼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 지형도에 표시된 영평산은 현지에서는 광평산이라하고 램블러도 광평산 배지를 수여하여 두 명칭을 병기하기로 한다.

산  행  길



산 행 일 지


▼ 10:36 법원읍 동문1리 율곡선생 유적지 주차장 ~ 10:53 [0.71km] 동문1리 표지석 들머리

경의중앙선 파주 문산역에서 대기중인 택시로 법원읍 동문1리에 위치한 율곡선생 유적지에 도착하니 월요일은 휴무라 입장할 수 없다하여

자운서원[ 紫雲書院 ]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에 있는 조선후기 이이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

<내용>

1615년(광해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이(李珥)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50년 (효종 1)에 ‘자운(紫雲)’이라고 사액되었으며, 그 뒤 김장생(金長生)과 박세채(朴世采)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위패는 매안(埋安)하고 서원터에 설단(設壇)하여 향사를 지내왔다. 그 뒤 1969년에 지방유림의 기금과 국비보조로 복원하고 1975년과 1976년에 걸쳐 보수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팔작지붕으로 된 6칸의 사우(祠宇), 신문(神門), 동서 협문(夾門) 등이 있으며, 담장 밖에는 묘정비(廟庭碑)가 세워져 있다. 서원의 좌측 능선에는 이이와 양친의 묘소가 있고, 근처에 경기도 교육위원회에서 설립한 율곡교육원이 있다.

사우에는 이이를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김장생과 박세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이 서원은 1973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묘정비는 1978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매년 8월 중정(中丁 : 두번째 丁日)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5변 5두(豆)이다. 재산으로는 전답 2,000여 평과 약간의 대지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운서원 [紫雲書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들머리를 어디로 잡아야할지 막막하였으나 10:36 유적지 주차장 우측(남쪽)으로 빠져나오면서 산행 시작하여 '자운서원로' 도로 건너 보이는 산자락으로 일단 붙기로 하고 나무계단을 오르는데 [경기교육청 율곡연수원 생활관] 관리 구역이라 난감하지만

일단 조성된 산책로 따라 진행해 보기로 하지만

10:44 [0.35km] 마지막 능선 마루까지 올라보니 철망울이 쳐쳐있어 더는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다른 산책로 따라 내려가면 10:50 자바라형 문이 잠겨있어 문을 넘어 도로로 나오면

도로 건너편으로 [경기교육청 율곡연수원] 정문이 보이고 [자운서원로] 따라 남동진하다

10:53 [0.71km] 도로 건너편 '동문1리' 표지석 보이는 지점으로 접근하자

흔적이 보여 따라가기로 한다.


▼ 11:24 [1.45km] 자운산(215m) 정상

비탈은 곧장 능선으로 이어지고 능선 좌측으로는 율곡연수원 철책이 둘러쳐져 접근하지 말라하고 묘지군은 경주최씨 중시조 가계도가 기록되어 있으며

율곡 연수원 철책 따라 진행하다 비교적 가파르게 비탈을 오르면

11:02 [1.05km] 남쪽에서 올라온 주능선 등로 만나 좌틀한다.

곧바로 운동기구와 쉼터 조성된 지점에는 아낙들이 옹기종기 모여 잡답 중인데 이제부터 등로는 양호하고 뚜렷해진다.

완만한 경사를 올라가다 11:05 평상놓인 ㅓ자형 삼거리에서 직진하는데 이정표에 [사방산 등산로]란 표시가 제대로 진행한다 하고, 좌측은 율곡선생 유적지라 알려주고 사방산 정상은 1,530m 남은 지점이다.  11:08 두갈래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봉우리 방향으로 올라간다 판단하여 좌측 사면으로 질러가기로 하고

11:11 [1.43km] 봉우리 들렀다 내려온 등로와 다시 만나 좌측으로 진행하면 경사를 느끼지 못할 만큼 완만한 등로를 따르는데 원통형 돌탑을 지나면

11:14 [1.45km] 곧바로 좌측 율곡선생 유적지 신사임당묘지와 약수터에서 올라온 ㅓ자형 삼거리를 만나 직진하는데 사방산 정상은 1,210m 남은 지점이다.

한번 더 봉우리를 거치는 등로를 마다하고 좌측 사면으로 난 등로를 따라 완만히 오르면 잘난 등로가 이어가고

11:24 [1.45km] 데크 전망대와 벤치 놓인 선답자들이 언급하는 자운산(215m) 정상에 도착한다. 故한현우님의 자운산 표지판 보이지 않는다.

자운산(紫雲山)

자운산(紫雲山 215m)은 파평산 남서맥으로 우뚝솟은 이 산은 율곡(이이)선생 예장당시 자색에 구름이 자욱하게 끼었다 하여 호칭하였으며 율곡선생을 모신 자운서원이 있다.

자운산의 명칭이 사방산으로 변경 되어 지도상 자운산은 나오지 않으나 자운산의 추억 때문에 故한현우님의 표지판이 붙은 215m 봉을 자운산(1)이라고 하고, 혹자는  이정표 3거리 윗쪽봉인 자운서원에 가까운 205m봉을 자운산(2)이라고도 한다.」

출처 : 파평산(坡平山496m).광평산(鑛平山 262m).사방산(四方山227.4m).자운산(紫雲山)/ 배창랑 2021. 10. 4. 14:26

전망대에 서면 동쪽 방향으로 비학산에서 남쪽 초리골로 떨어지는 산줄기가 나뭇가지 사이로 언뜻 조망된다.

갑자기 핸드폰 속도가 떨어져 리셋하여 기능 회복시키고 11:30 장비 재정비한 후 출발


▼ 12:04 [2.98km] 사방산(삼각점 227.4m) 정상

고만고만한 오르내림을 반복하다 11:39 [2.43km] 봉우리 하나 올라서면

운동기구와 이정표 세워진 지점인데

이곳이 선답자들이 언급한 자운산으로 판단하여 인증샷하고 선답자 궤적을 살피니 지나온 데크 전망대 지점이 자운산이었음을 확인한다.

11:45 두 갈래 갈림길에서 사방산은 좌측 사면길로 가라하고 우측 능선길은 금곡리 간다하나 지형을 살피니 능선길로 가야할 것으로 판단되어 능선으로 출발하면

등로 우측 동쪽으로 비학산 줄기가 용틀임하고

11:48 [2.556km] 다섯 번째 봉우리를 넘어서자 사면 등로를 거쳐 올라온 사방산 간다는 등로와 합류하여 같이가고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거칠고 가파른 오름을 극복하여

능선에 붙으면 바로 우측이 정상석 있는 사방산이고 지도의 사방산은 좌측에 떨어져 있어 왕복하기로 한다.

11:55 [2.75km] 우측에 있는 사방산(정상석 233m) 정상에 도착하여 인증삿한 후

지도상 사방산 정상을 향해 서쪽으로 진행하면 사방산 정상부가 보이고

한바탕 오름을 극복하면 12:04 [2.98km] 사방산(삼각점 227.4m) 정상에 올라선다.

정상은 벙커봉으로 삼각점이 두 개 박혔다.

사방산[ 四方山 , Sabangsan ]

경기도 파주시의 법원읍 북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227m).

조선 시대에 자운산(紫雲山)으로 불리던 산이며, 현재 사방산 남사면에 이율곡묘와 신사임당묘가 있고 이율곡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자운서원(紫雲書院)이 자리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자운산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자운서원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자운산이라는 이름은 서원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지도서』에는 자운산에 대한 기록이 있는 바, 파주 읍치의 동북방향 20리 지점에 있는 산으로 되어 있다. 『조선지도』, 『팔도군현지도』, 『청구도』 등에도 자운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자운산의 명칭이 사방산으로 변경된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대체로 일제강점기로 추정한다. 자운산 자락에 자운서원이 들어서 있고 땅이 좋은 곳이어서 일본인이 지명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파평산에서 볼 때 손사방(巽巳方)이기 때문에 사방산(巳方山)이 되었다가 다시 현재의 사방산(四方山)이 되었다는 유래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방산 [四方山, Sabangsan]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2008. 12.)

12:07 오던 길로 뒤돌아 출발


▼ 12:42 [4.56km] 쇠꼴마을 입구

12:13 다시 정상석 지점으로 돌아와 직진하면

벤치 놓인 쉼터에서 좌측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우측으로는 가팔라 진행이 불가하고

결국은 벙커를 끼고 우측으로 돌아가다 12:16 로프가 유도하는 좌측으로 꺾어 진행하고

한번더 우측으로 꺾어 로프길 따라 사면으로 가파르게 미끄러져 내린 다음 12:20 ㅓ자형 삼거리에서 좌측 이정표의 [주내자육원] 방향 사면으로 진행하여야 하는데 직진 능선 방향으로는 금곡2리 간다 알려준다.

사면으로 난 등로를 따라가다

능선이 다시 살아난 지점부터는 양호한 등로로 바뀌는데 등로 좌측은 사유지이니 접근 말라고 고압 전류 울이 쳐져있고

대체로 북진하면 가야할 영평산의 꿈틀대는 모습이 바라 보이는데 가운데 가장 낮아보이는 봉우리가 영평산 정상이라 좌측을 서봉이라 하고 우측 가장 높아 보이는 봉우리를 동봉이라 임의 지정해 본다.

북진하던 등로는 시계 방향으로 돌아 내려가다 12:33 [파주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건물 방향으로 내려가 좌틀하여야 하는데

[파주시 장애인 종합복지관]은 산행 중 이정표에 적힌 [주내복지관]을 가리키는 듯하나 확실치는 않고

12:38 [4.27km] [파주시 장애인 종합복지관]을 완전히 빠져나와 중앙선 없는 2차선 도로 만나 좌틀하면

도로는 대체로 남서진하는데 우측 저수지를 지나자 우스꽝스럽지만 정겨운 모습으로 빚어진 장독 진열된 지점을 지나면

12:42 [4.56km] 쇠꼴마을 입구에 도착하여 우측 안으로 들어가 본다.

쇠꼴마을

경기도 파주시 사방산 자락에 있는 체험학습이 가능한 복합공간으로 사계절 테마를 즐길 수 있는 체험학습장이다.

예로부터 소먹이 풀이 많은 깊은 산골로 알려져 마을 이름이 쇠꼴이고 이 체험농장의 이름도 이 같은 내력에서 왔다 한다. 자연 체험학습과 더불어 계절별 체험프로그램을 달리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각종 민속놀이를 즐길 수 있다.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쇠꼴마을에서는 봄이면 허브화분 심기, 전통·민속놀이, 뗏목 타기, 깡통 열차 타기, 여름이면 미꾸라지 잡기와 수영장에서 무료 바나나 보트 등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데, 수영장은 취사가 가능해서 여름 피서지로 제격이다.

가을이면 배따기, 고구마 캐기 등 수확 체험을 하며 겨울이면 눈썰매, 얼음 썰매, 얼음낚시 등 겨울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쇠꼴마을에서는 바비큐와 식사가 가능한 식당도 운영하고 있다.

또, 파쇄석, 인조 잔디, 데크, 평상이 마련되어 있는 캠핑장과 숙박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1박 2일을 하며 쇠꼴마을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하기 위해 많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찾는 곳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쇠꼴마을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 13:37 [6.14km] 영평산(광평산 262m) 정상

영평산으로 올라가는 길을 찾아 여기저기를 돌아 어찌어찌 진행하다

12:50 현무암이 아닌 화강암으로 형상화한 돌하르방 선 지점에서 산쪽으로 올라가는 길을 발견하여 조금 오르면 입산금지 표지판이 섰으나 그냥 지나가고

돌아보면 지나온 사방산은 낮은 산인데도 꽤나 웅장한 자태로 바라 보이고 용도를 알 수 없는 조형물은 비켜 지나가면

토종꿀벌 사육장이란 표지판이 세워져 있고 이어 벌통이 여기저기 널려있고 12:57 비탈 따라 조성된 등로는 좌측으로 크게 꺾어 올라간다.

산비탈 사면으로 조성된 등로 따라 진행하지만 무지막지하게 가파른 비탈로 올라갈 만한 등로가 없어 진행하는 등로가 긴가민가 할 즈음 등로가 거의 임도 수준으로 바뀌면서

13:02 [5.32km] 우측 비탈로 난 돌계단이 보이고 배창랑님 표지기도 걸려있어 준비해간 빵과 이온 음료로 요기하고 쉬었다 가기로 한다.

돌계단을 오르자 길은 묘연해지고 깊은 골짜기와 가파른 비탈이 너무 버거워 13:14 다시 임도로 내려와 우측으로 진행하면

13:16 돌탑 서너기와 정자 세워진 지점을 지나가게 되고 임도는 계속 이어가는데 임도가 영 미덥지 않아 13:17 이번에도 우측 비탈로 난 흔적을 쫓기로 하지만

역시나 길은 묘연해져 무작정 비탈을 치고 오르자 13:20 정상으로 올라가는 임도를 만나 우틀하여 고도를 높혀 올라간다.

정상은 임도 좌측 비탈 위인 듯한데 임도는 동쪽으로 휘어 올라가고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꺾어 올라가야 하는데 우측은 동봉으로 이어진다.

좌측 서봉으로 올라가는 오르막이 몹시 힘겹고

거칠고 가파르게 올라가면 우측 비탈 방향으로 벙커가 보이나 좌측으로 돌아 올라가야 하고

막바지 오름을 극복하면 13:37 [6.14km] 헬기장인 듯한 널따란 공터인 영평산(광평산 262m) 정상에 도착하게 된다.

광평산(鑛平山)

광평산(鑛平山 262m)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마산리에 소재한 산이다. 파평산에 이어진 서북맥으로 부터 임진강에 이르는 이 산은 능선이 편편하게 내려오면서 주위에 석회광석이 많이 있다 하여 호칭되고 있다.

정상부는 과거에는 군부대여서 갈 수 없었지만, 지금은 군부대가 철수하여 누구나 쉽게 올라갈 수 있다. 정상에는 북한 개성에 있는 송악산이 조망된다. 파평산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상은 넓은 공터로 철구조물, 화생방시설(깃대, 타종)이 있다」

출처 : 파평산(坡平山496m).광평산(鑛平山 262m).사방산(四方山227.4m).자운산(紫雲山)/ 배창랑 2021. 10. 4. 14:26

 

정상 북쪽 방향으로는 파평산이 바라 보이고 서쪽으로는 돌무더기가 박혔다.

육군 1군단 '6·25전사자 발굴 유해' 합동영결식 엄수 파주 영평산 등 격전지서 유해 10구 찾아

육군 제1군단이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작전을 통해 수습된 호국영웅의 안녕을 기원하고 넋을 기리기 위한 '6·25 전사자 발굴 유해 합동영결식'을 거행했다고 28일 밝혔다.

부대 측에 따르면 주성운 1군단장(중장) 주관으로 엄수된 이날 영결식엔 경기 고양시·파주시·양주시 주요 인사, 보훈 단체장, 상·하급 부대 관계자, 군단 장병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올해 1군단은 5월부터 9월까지 파주 영평산 등 총 4개 지역에 총 500여 명의 장병들을 투입해 유해 발굴을 진행, 10구의 유해와 3100여점의 유품을 발굴했다.

유해 발굴이 이뤄진 파주·고양지역은 6·25 전쟁 초기와 1951년 중공군의 신정 공세 및 4월 공세 기간 국군 1사단과 유엔군이 많은 희생을 치른 격전지다.

영결식 장의위원장인 주 군단장은 추모사를 통해 "다시는 이 땅에서 전쟁이 발발하지 않도록 굳건한 대비 태세를 확립하고, '힘에 의한 평화'를 구현하기 위한 압도적 능력과 태세를 갖춘 군단을 만들겠다"며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내 그리운 가족과 조국의 품으로 모시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영결식을 마친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으로 봉송돼 유전자 분석, 전사자 유품과 기록 확인 등 감식 과정을 거친 후 신원이 확인되면 유족 의사에 따라 개인 선산 또는 국립현충원 등지에 안장된다.

출처 : 고양=뉴스1) 박대준 기자 2024.11.28 오후 05:14

서봉이라 임의 명명한 봉우리를 한 번 쳐다만 보고 13:43 오던 길로 뒤돌아 산행재개한다.

 


▼ 14:27 [8.46km] 법원읍 금곡2리사무소 산행종료

동봉을 바라보며 정상을 내려가

13:48 다시 갈림 삼거리로 돌아와 동봉을 향해 직진하고 완만히 올라가면

13:51 [6.41km] 광평산 동봉(240m) 정상에 도착하는데 별다른 특징이나 선답자 표식도 없다.

13:54 다시 갈림길로 돌아와 올랐던 임도 따라 내려가면 비탈을 거쳐 임도로 올랐던 지점에서 오를 때와 달리 그냥 임도 따라 내려가기로 하고

14:04 군부대 철책 쳐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철책을 따라가면

진행 방향 남쪽으로 사방산이 변신한 모습을 보여주고

14:09 군부대 철책이 우측으로 흐르는 삼거리에서 좌측길로 진행하여 쇠꼴마을로 들어서자 북쪽 방향으로 동봉이 마중나온 모습이 보이고

쇠꼴마을 겨울철 눈썰매장을 달구던 적설은 이국적 풍광으로 느껴지고

14:13 [7.54km] 쇠꼴마을을 빠져나와 포장도로에서 좌측으로 진행한다.

14:17 영평산으로 오르기 위해 들어갔던 쇠꼴마을 입구를 지나고 14:20 파주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입구를 지나

14:25 큰 도로로 나와 우틀하여 잠시 도로 따라 진행하여

파주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버스정류장를 지나면

14:27 [8.46km] 정류장 뒤편 법원읍 금곡2리사무소에 도착하여 산행을 종료하여 카카오T로 파주택시 콜하여 문산역으로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