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위치 : HOME > 지난산행 > 제 257 회차(수원 팔달산 일대) > 산행후기

=   제 257 회차 산행 : 수원 팔달산 일대   =

◎ 수원 팔달산 일대 : 2021년 11월 17일(수)

ㆍ 산행코스 : 화서역~여기산~숙지산~화성~행궁~팔달산~팔달공원~수원역

ㆍ 참가인원

: 하늘금 홀로

ㆍ 산행시간

: 3시간 46분

ㆍ 집결지(시각)

: 화서역 (08:00)

ㆍ 산행거리

: 13.3 km


현재 게시물 총 1 (1 쪽 중 1 쪽)
번  호 1 등 록 일 2021.11.18 (목) 오후 5:12:50
글쓴이 하늘금(shins@shins.or.kr) 수정/삭제

 

수원 팔달산 일대(화서역~여기산~숙지산~수원화성~행궁~팔달산~수원역)
[ 2021. 11. 17 ]

구 간 요 강

1. 서울 - 화서역 교통편
1) 2021. 11. 17일(수) 1호선 종로3가역 -> 화서역

2. 산행코스
2021. 11. 17일(수) 총소요: 3시간 46분(산행거리 : 13.3km)

화서역~여기산~숙지산~수원화성~행궁~팔달산~팔달공원~수원역

3. 수원역 - 서울 교통편
1) 2021. 11. 17일(수) 1호선 수원역 -> 동묘역

산  행  길



산 행 일 지


▼ 08:09 화서역 5,6번출구 ~ 08:50 축만제 다리

화서역 6번출구로 나오는데 5번 출구가 바로 옆이다. 하행선은 2층으로 올라가야 철로를 건널 수 있어 6번 출구를 이용할 것이고 상행선은 1층에서 바로 나올 수 있어 5번 출구인 것 같다. 장비추스리고 08:09 산행 시작한다.


= 산행 시작점 화서역 5,6번 출구 =

서쪽 방향도로를 따라가면 08:15 다리를 건너가고 곧바로 좌측편에 '여기산 공원'이 시작되는데 테니스장이 먼저 눈에 띈다.

좌측으로 서서히 휘어가는데 산쪽은 울타리로 막아 들어갈 수 없고 08:21 축구장을 지나 울타리에 최대한 접근해 들어갈 만한 곳을 찾는데 08:22 선답자의 '여기산 104.1m' 표지리본이 매달려 있는걸로 보아 여기산은 오를 수 없겠다는 판단이다.

여기산을 중심으로 한 바퀴 돌다보면 적당한 곳에서 오를지도 모른다는 기대로 08:26 주택가 골목을 지나가고 08:28 철책 둘러쳐진 '힐스테이트 수원테라스 신축공사장'을 지나가면 도로변에서 산비탈까지 온통 파헤쳐 공사가 한창이다.

08:37 수원시 관련 기관 건물 안으로 산책 차림의 노년이 뒷짐지고 들어가자 산꾼도 덩달아 들아가보니 넓은 운동장이 펼쳐보이고 08:4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건물이 보이고 08:44 '축만제' 라는 커다란 저수지가 시원스럽게 펼쳐진다.

08:50 다리를 건너면서 돌아보면 여기산이 바로 지척에 보이는데 정보 부족으로 오를 수 없음이 안타까워 이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에 '한 바퀴 돈 궤적도'와 '여기산 축구장' 인근에서 본 '여기산 표지리번' 사진을 합성하여 여기산(104.1m) 정상을 대신해 본다.


▼ 09:18 숙지산(124m) 정상

하천따라 북쪽으로는 '삼남길 제4길 서호천길'이라는 안내퍈이 세워져 있는데 마다하고 08:54 서호공원으로 들어가면 수원역 부근 철로를 건너갈 수 있는 육교가 연결되어 있다.

육교 좌측 계단으로 내려가면 09:00 사거리에서 우틀하고 09:02 숙지(熟知)고등학교 앞을 지나고 09:05 교통신호 사거리에서 직진 골목으로 들어가야 한다.

09:07 골목 계단을 올라가면 숙지공원 입구 큰도로를 만나 횡단보도 건넌 후 우측으로 인도따라 가야하는데 09:08 '블루밍 푸른숲 아파트' 직전 좌측으로 숙지산 들머리가 보인다.

나무계단 따라 올라가면 등로 우측 아파트 단지와는 철골 울타리로 구획되어 있고 09:13 아파트와 연결되는 철문에서 길은 여러갈래인데 오히려 길없는 비탈로 올라가 본다.

그러나 이내 등로와 만나 올라가고 한바탕 가파르게 치고 오르면 09:18 사각정자가 먼저 맞는 숙지산 정상(124m)에 도착하는데 지적 삼각점이 두 종이나 박혔고 가까이에는 운동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 10:57 팔달산(145.5m) 정상

숙지산 정상에서 운동시설쪽으로 진행하면 09:24 곧바로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가고 09:25 정상 우틀길과 합류하여 우측으로 진행하면 아파트를 바라보며 멍석 깔린 내리막길을 미끄러지고 다 내려가 우측으로 꺾어 가는데 '화서벽산 아파트' 단지이다.

교회 첨탑에 태양이 걸린 방향으로 팔달산을 바라보며 진행하면 09:31 '성덕도 수원교화원'이란 간판달린 철문에서 좌측길로 틀어가다 곧바로 우측으로 틀어가면 09:33 수원화성 부근 큰도로와 만나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으로 진행하다 09:35 우측 비탈로 올라가본다.

09:36 '화성어차 전용도로' 간판 붙은 지점에서 길은 여러갈래라 어디부터 둘러볼까 잠시 망설이다 키 큰 억새가 덮힌 화성성곽을 바라보며 아래쪽으로 내려가 본다.

09:40 화서문(華西門)을 만나고 성곽안으로 들어가 내려왔던 반대방향으로 올라가니 09:45 서북각루(西北角樓)를 잠시 만나고 성곽길을 따라가다 09:48 성곽길과 교차하는 길을 따라 화성행궁부터 들러보기로 한다.


= 화서문(華西門) =

 

= 서북각루(西北角樓) =

09:50 정조대왕 동상이 보이는 지점을 통과하면 09:52 좌측 아래로 담장 둘른 행궁 내부가 언뜻 보이고 아예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 계단으로 내려가 담장을 끼고 좌측으로 돌아가니 높다란 함석 담장이 둘러쳐저 무슨 공사인지 행궁 관람은 못하는게 아닌가 우려되는데 '수원 화성행궁 2단계 복원정비공사'란 간판이 달려있는 지점을 지나게 된다.

09:58 수원 화성행궁 광장으로 들어서자 관람하려는 비교적 많은 인파로 북적대고 10:03 화성행궁 대문쯤으로 보이는 웅장한 출입문 현판엔 '신풍루(新豊樓)'라고 씌여 있다.

행궁 안으로 들어가면 건축 구성이 빠져나오기 힘든 미로 형태이다.

10:05 외정리위문(外整理衛門)으로 들어가면 임금이 행차시 화성행궁 모든 행사를 담당하는 관청을 '外整理所'라 한다고 설명한다.

10:07 중양문(中陽門)을 지나 봉수당으로 들어가는 길은 세부분으로 나눠져 있는데 가운데 넓고 조금 높은 길은 임금만이 다닐 수 있는 '어도(御道)'이고 오른쪽은 문관이 왼쪽은 무관이 동행하였다 한다.


= 봉수당(奉壽堂)은 임금 행차시 정전(正展)으로 쓰이던 건물로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 진찬연이 열릴 때 지은 이름이라 한다. =

10:17 화성행궁을 나와 장안문을 향해가는 길목에 10:20 이아(貳衙 조선조 제2청사), 구한말에서 근세까지 수원법원, 검찰청 청사가 있었던 곳이라 설명된 곳을 지나간다.

10:29 장안문(長安門)에서 계단을 오르면서 수원 화성 답사를 이어간다.

= 장안문(長安門) =

= 북옹성 =

 

= 북옹성에서 본 장안문(長安門) 현판 =

= 팔달산과 화성 성곽 =

 

= 북서적대(北西敵臺)의 홍이포(紅夷砲) =

 

= 북서포루(北西砲樓) =

= 북포루(北?樓) =

 

=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

= 화서문의 옹성 =


= 화서문(華西門) =

= 서북각루(西北角樓) =

= 서1치(西一雉) =


= 여기서 아랫길로 행궁으로 갔었다 =

= 서포루(西砲樓) =

= 서2치(西二雉) =

 

= 서노대(西?臺) =

= 서장대(西將臺) =


= 정조 임금이 서장대(화성장대)에서 군사훈련을 지켜본 후 감회를 읊은 시 =


= 서장대가 팔달산(145.5m) 정상이다 =


▼ 11:55 수원역 9번출구

11:05 '효원의 종각(孝園의 鐘)'이란 현판붙은 범종은 원래는 팔달동종(八達銅鐘 유형문화재 69호)이었는데 300여년을 사용하다 타종이 어려운 한계에 도달하자 1991년 새로이 시민의 협찬으로 새로 제작하여 이름도 시민 공모에 의해 만들어졌다 설명한다.


= 서포루(西?樓) =


= 바깥(팔달공원)으로 나갈 수 있다 =

= 서3치(西三雉) =

= 서남암문(西南暗門)과 서남포사(西南?舍) =

 

= 서남암문(西南暗門) =

= 용도(甬道) =


= 용도(甬道) 맨 끝부분 서남각루西南角樓(화양루華陽樓) =


= 남포루(南砲樓) =


= 남치(南雉) =

11:26 화성 성곽이 끝나는 지점에 '미복원 서쪽 성벽'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1920년 도로를 넓히면서 팔달문 좌우 성벽이 철거되면서 사라졌는데 성문보호 목적인 남서적대(南西敵臺)와 성밖으로 물이 나갈 수 있도록 성벽 아래 눈에 띄지 않게 만든 수문인 남은구(南隱溝) 등이 복원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 팔달문(八達門) =

11:27 사거리 한가운데에 세워진 팔달문에서 남쪽으로 도로를 따라가다가 11:35 우측(서서남방향)으로 틀어 진행하고 11:44 사거리에서 직진하면 11:46 수원세무서를 지나가고 11:55 수원역 지하9번 출입구로 들어가면서 수원 화성행궁 역사 기행 산행을 마무리 한다.


= 산행 종착점 수원역 9번출구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