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위치 : HOME > 지난산행 > 제 347 회차(땅끝기맥1구간(각수바위)) > 산행후기

=   제 347 회차 산행 : 땅끝기맥1구간(각수바위)   =

◎ 땅끝기맥1구간(각수바위) : 2022년 11월 19일(토)

ㆍ 산행코스 : 운곡마을~노적봉~바람재~각수바위~유치재~소반바위산~수락재~운월계곡~820번도로~덕룡재

ㆍ 참가인원

: 하늘금 홀로

ㆍ 산행시간

: 7시간 32분

ㆍ 집결지(시각)

: 광주송정역 (05:40)

ㆍ 산행거리

: 20.78 km


현재 게시물 총 1 (1 쪽 중 1 쪽)
번  호 1 등 록 일 2022.11.23 (수) 오전 2:05:02
글쓴이 하늘금(shins@shins.or.kr) 수정/삭제

 

땅끝기맥1구간[각수바위](운곡마을~노적봉~바람재~각수바위~유치재~소반바위산~수락재~운월계곡~820번도로~덕룡재)
[ 2022. 11. 19 ]

구 간 요 강

1. 서울 - 장흥 장평면 병동리 운곡마을 교통편 및 숙박
1) 2022년 11월 18일(금) 용산역10:50 -> 14:38광주송정역 : ITX새마을(23,200원)
2) 2022년 11월 18일(금) 광주송정역 삼호모텔 숙박(40,000원)
3) 2022년 11월 19일(토) 광주송정역05:50 -> 06:43이양역 : 무궁화(2,100원)
4) 2022년 11월 19일(토) 이양역 -> 장평면 병동리 운곡마을 : 이양택시(22,970원)

2. 산행코스
2022년 11월 19일(토) 총소요: 7시간 32분(산행거리 : 20.78km)

운곡마을~노적봉~바람재~464.5m봉~각수바위~유치재~소반바위산~489.4m봉~수락재~운월계곡~820번도로~세류교차로~덕룡재

3. 덕룡재 - 영암 금정면 숙소 교통편 및 숙박
1) 2022년 11월 19일(토) 세류교차로 -> 금정면내 : 금정택시(13,000원)
2) 2022년 11월 19일(토) 금정면내 -> 연분홍한옥민박 : 금정택시(5,000원)
3) 2022년 11월 19일(토) 금정면 연분홍한옥민박 숙박(2박 100,000원)

특 이 사 항

1) 소반바위산 지나 수락재에서 정상 기맥길을 버리고 임도를 따르면서 적당한 지점에서 마루금에 붙으려 했지만 임도는 그대로 계곡으로 이어져 가는 바람에 변형된 땅끝기맥 1구간이 되어 버렸다.

산행거리는 4km 정도 늘었지만 대신 임도와 차도를 따라가 체력 소모는 덜 한 듯하다.

산  행  길



산 행 일 지


▼ 07:13 병동리 운곡마을 풀꽃향기펜션 산행시작

광주 송정역 부근 모텔에서 하루 밤을 묵고 새벽 05:50 출발하는 순천행 무궁화 열차로 화순 이양역에서 내린 후 미리 예약한 택시를 타고 장흥 장평면 병동리 운곡마을로 이동하여

장비 간단히 추스리고 '들꽃향기펜션' 뒤편을 들머리로 07:13 산행 시작한다.


▼ 07:47 [1.43km] 땅끝기맥 분기점 노적봉(바람봉 430m) 정상

사면과 계곡으로 등로는 이어가다

07:36 호남정맥 바람재에 도착하여 좌측으로 틀어 진행하여

고도를 높혀가면

07:47 [1.43km] 땅끝기맥과 호남정맥이 갈리는 분기점에 도착하는데 여기가 노적봉(바람봉 430m) 정상이다.

여기서 호남정맥은 서쪽 방향이고 땅끝기맥은 북쪽으로 이어지는데 지난 호남정맥 종주 때는 노적봉 정상석이 있었는데 지금은 보이지 않는다.


▼ 09:32 [5.14km] 각수바위(515m) 정상

북동 방향 화학산을 바라보며 07:52 출발하여 낙엽 무성한 가파른 내리막을 미끄러지면

08:01 안부를 지나서

잡목을 헤치고 08:09 [1.95km] 봉우리 하나 오른 후

내려가면 08:10 [1.98km] 골 깊은 바람재에 도착하는데 이 부근에 바람재라 불리는 곳이 네 군데나 있다. 운곡마을에서 호남정맥에 붙으면 만나는 고개도 바람재이고, 각수바위와 소반바위산 사이 유치재(장흥 유치면) 혹은 우치재(화순 도암면 우치리)도 바람재라 하고, 월출산 천황봉에서 구정봉 가는 중간에도 바람재가 있다.

좁은 능선 등로를 따르면

08:30 [2.68km] 464.4m봉에 도착하고

낙엽으로 길은 보이지 않는데 잡목이 성가시고 임도수준 길(임수길)을 만나니 이제 편안하게 진행할 수 있겠다.

군데군데 우측 방향으로 화학산으로 갈 만한 희미한 길이 보이나 08:46 [3.18km] T자형 임수길에 올라 서면 우측으로는 화학산 오르는 등로이고 기맥은 좌틀하여야 하고

계속해서 임수길을 편안하게 진행하는데 등로 우측으로 화학산 자락이 조망되고

08:53 [3.55km] 각수바위 1.3km 남은 지점을 지나면

등로 좌전방으로 각수바위가 흘낏 보이고 편안한 임수길을 따라 진행하면 08:58 각수바위 0.9km 남은 지점을 지나고

09:05 여러갈래 갈림 안부에서 이정표 각수바위 0.5km 가리키는 방향으로

선답자 표지가가 달렸는데 골짜기 길이라 의심스러워 좌측 사면 길을 따라가니 오히려 깊은 계곡으로 진행하게 되니 우측 방향으로 크게 틀어 내려가기로 하고

09:18 [4.78km] 놓쳤던 등로에 합류하여 좌틀한다.

각수바위 단애가 가깝게 보이기 시작하고 능선 등로를 따르면 09:26 [5.02km] 우측 각수바위를 다녀와야 하는 삼거리에서 각수바위 방향으로 올라가기로 하고

암봉에 올라보니 깊은 계곡을 끼고 암봉이 건너편에 또 있으나 건너가는 것은 포기하고

암봉을 돌아 더 오르면 09:32 [5.14km] 각수바위(515m) 정상석 선 지점에서 인증샷 한다.

남서방향 풍력단지 활성산과 멀리 월출산이 경쾌하게 조망되니 가슴이 뻥 뚫리는 기분이고 09:42 출발한다.


▼ 11:29 [8.66km] 소반바위산(492.6m) 정상

삼거리로 돌아와 조금 더 진행하면 선답자 표지기 달린 지점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암벽 사이로 위험스럽고 엄청나게 가파른 경사를 힘겹게 미끄러져 안전지대에서 한 숨 돌리고

돌아보니 각수바위가 당당하게 버티고 서 있다.

10:10 [5.79km] 바위 박힌 봉 하나 오르고

10:23 [6.24km] 이정표 선 삼거리 봉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10:31 [6.71km] 임도에 내려서는데 여기가 유치재/우치재/바람재/가마태재 등 다양하게 불리워 지는 고개이다. 화순 도암면 우치리와 장흥 유치면 소양리를 잇는 임도 고개로 '남도오백리역사숲길'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화학산 갈림길에서부터 자주 보이는 이정표도 '남도오백리 역사숲길' 때문에 설치된 것이라 한다.

유치재 아래로는 817번 터널이 지나가고 나무계단을 올라가

돌아보면 호남정맥과 화학산과 지나온 산줄기가 조망되고

수북한 낙엽으로 자꾸 미끄러지니 오르기가 힘겨운데 가야할 소반바위산이 보이기 시작하고

10:53 [7.43km] 유치재 이후 세 번째 봉우리에 올라서서 잠시 쉰 후 11:02 출발한다.

임수길을 지루하게 오르고 내리면

11:29 [8.66km] 소반바위산(492.6m) 정상에 도착하는데 정상 표시는 찾을 수 없고 우측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11:33 출발


▼ 12:06 [10.04km] 수락재

11:38 [8.88km] 산죽 봉우리를 지나가고

11:42 [9.08km] 489.4m봉을 지나가면

우측으로 틀어 완만히 내려가야 하고

11:49 [9.26km] 소반바위산 이후 세 번째 봉우리에 올라서면 네 번째 봉우리가 기다리고

11:56 [9.54km] 네 번째 봉우리에 도착하여 내려가면

12:05 [9.94km] 임수길을 만나 우틀 진행하면 나무 네 그루를 기둥으로 만든 대나무 원두막이 신기하고

12:06 [10.04km] 사거리 안부인 수락재에 도착하여 능선으로 올라야 하나 좌측 임도로 가다가 적당한 지점에서 마루금에 붙을 요량으로 임도를 따라 가기로 한다.


▼ 13:04 [13.9km] 820번 지방도

임도 따라 한참을 내려가는데 점점 마루금과 멀어지고 접근할 만한 장소 없이 자꾸 게곡으로 내려가니 정상 기맥 마루금은 포기하기로 한다.

느긋한 마음으로 여유있게 내려가면

12:26 [11.2km] 포장 임도를 만나 우틀하고

12:37 [12.0km] 외딴 민가 한 채 보이는데 뜰에 있는 카라반이 궁금증을 유발케하고 이제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따라가다

12:42 [12.4km] Y자 갈림길에서 우측은 산쪽으로 올라가기에 어쩌면 마루금에 붙을 수 있겠다 싶어 올라가니 작은 마을에서 도로는 끝이나 다시 되돌아간다.

포장 도로를 따라가면

13:04 [13.9km] 820번 지방도를 만나 우틀하는데 도로 확장 공사 중이다.


▼ 14:45 [20.78km] 덕룡재 생태통로 산행종료

곧바로 다리 삼거리에서 우측 영암 금정 방향으로 진행하니 기초 포장만 한 아스팔트 차도가 이어가고

13:27 [15.6km] 청용리 중산마을회관 앞을 지나가면

14:05 [18.5km] 청용리 동산마을회관 앞을 지나가고

14:25 [20.1km] 원세류 버스정류장에서 잠시 쉬었다 14:35 출발한다.

조금 더 진행하면 14:36 [20.2km] ㅏ자형 세류교차로에서 820번 지방도는 우측으로 흐르고 직진 방향으로는 14번 국도가 시작되는데

우측 820번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14:45 [20.78km] 생태통로가 기맥을 연결해 주는 덕룡재에 도착하여 산행을 마무리 한다.

영암군 금정면 택시를 콜하여 식사를 위하여 금정면내로 이동하여 식당을 찾으나 고기 식당밖에 없어 마트에서 간단한 먹거리 구입하여 민박집에서 직접 조리하기로 한다.

1